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개발 사업절차" 단계별 정리 - 정비구역 지정부터 입주까지

by JADENKAUFMAN 2025. 7. 25.
재개발 사업은 단순한 건물 철거와 신축이 아닌, 법적 절차와 기존 입주자들간에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내용에서는 재개발 사업의 전체적인 흐름을 정비구역 지정부터 입주까지 총 9단계로 나눠 상세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재개발 사업절차 단계


1 단계 : 정비구역 지정

주체 : 지방자치단체(구청, 시청 등)
내용 : 노후 · 불량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을 재개발 대상으로 선정
기준 : 전체 건축물 중 20년 이상 된 건축물 비율, 기반시설 열악도 등 파악
결과 : 정비계획 수립 → 주민 공람 →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 ‘정비구역’ 지정 고시

 

2 단계 : 추진위원회 설립

주체 : 주민 10명 이상
조건 : 토지등소유자 10% 이상 동의 필요
내용 : 조합 설립을 위한 준비 단계로, 추진위가 사업 방향과 초안 기획

 

3 단계 : 조합 설립 인가

주체 : 추진위원회
동의율 : 토지등소유자 75% 이상 동의 필요

* 가장 찬반이 나뉘는 과정이며, 의견대립과 감정싸움이 많이 발생하는 단계입니다.

절차 : 창립총회 개최 → 정관, 사업계획서, 조합장 선출
인가 주체 : 구청장 등 지자체장

 

4 단계 : 정비계획 변경 및 사업시행 인가

- 정비계획 세부 확정, 설계안 마련 (건물 배치, 평형 구성 등)
- 조합이 계획안 제출, 지자체의 심의 및 인가
- 권리가액 산정 및 분양 자격이 결정됨

 

5 단계 : 시공사 선정

방식 : 입찰 또는 수의계약
시점 : 사업시행 인가 전/후 가능
중요성 : 브랜드, 공사 기간, 시공비 등이 이후 사업 속도에 직접적 영향

 

6 단계 : 관리처분계획 인가

주체 : 조합
내용 : 조합원들의 권리산정 (기존 재산 vs 신규 분양권), 이주비 지급 기준 확정
절차 : 조합 총회 → 계획 수립 → 인가 요청 → 구청 승인

 

7 단계 : 이주 및 철거

이주비 지원 : 조합이 조합원과 세입자에게 이주비 지원
철거 : 이주 완료 후 기존 건물 철거 시작

 

8 단계 : 착공 및 본 공사

시공사 착공 : 착공신고 후 실제 공사 시작
공사기간 : 보통 2~3년 소요
중요요소 : 공사 지연, 부실 시공 방지, 안전관리 등

 

9 단계 : 준공 및 입주

준공검사 : 건축물대장 등재, 사용승인
입주 개시 : 조합원 및 일반분양자 입주
등기 이전 : 소유권 이전 등기 처리


요약

재개발은 최소 7년, 길게는 15년까지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각 단계마다 이해관계자, 법적 조건, 행정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 철저한 사전 준비와 정보 분석이 필요합니다. 구역별 진행 단계에 따라 접근 전략도 달라져야 하므로,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대응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재개발 사업절차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