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량리 뉴타운" 이제는 청량동이다 - 서울시 정비사업 7차

by JADENKAUFMAN 2025. 7. 27.

목차

  • 청량리역 일대 개발 집중 (역세권 중심)
  • 청량리 6 · 7 구역 중심의 주거재생
  • 고밀도 개발과 지역 반발 이슈

청량리 뉴타운 정비 현황

청량리뉴타운은 서울 동북권 동대문구의 청량리동, 제기동, 전농동, 그리고 용두동 일대에 추진 중인 뉴타운 재개발 사업이다. 교통, 상업, 주거 기능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도시재생 프로젝트로, 특히 2024년에는 각종 개발이 가시화되면서 투자자와 실수요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내용에서는 2024년 현재 기준 청량리뉴타운의 주요 진행현황과 핵심 이슈를 구역별로 분석하고, 투자 시 주의할 점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청량리역 일대 개발 집중 (역세권 중심)

청량리뉴타운의 핵심은 단연 청량리역세권 복합개발입니다.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KTX강릉선, GTX-B, GTX-C 등 복수의 철도 노선이 집중되는 청량리역은 서울 동북권 교통의 허브로 기능하며, 이에 따른 개발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2024년 현재, '롯데캐슬 SKY-L65'를 비롯해 이미 고층 주상복합 아파트가 다수 준공 및 입주를 시작했으며, 주변 상업시설도 빠르게 들어서고 있습니다. 특히 '청량리역 롯데백화점 리뉴얼'과 '롯데마트 부지 복합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이 일대는 단순한 주거지가 아닌 주상복합 상권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GTX-B, C노선이 개통되면 서울 도심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며, 이러한 교통 호재는 향후 청량리의 프리미엄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주요 요인입니다. 역세권 인근의 재개발 구역은 대부분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지 못했지만, 그만큼 향후 시세 차익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됩니다. 실제로 2023년 말 기준, 인근 분양가 대비 전세 및 매매가격 상승폭이 다른 지역 대비 빠르게 상승하며 ‘프리미엄 재건축’의 면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거주 수요는 물론, 투자 수요까지 빠르게 유입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2. 청량리6 · 7 구역 중심의 주거재생

청량리뉴타운 내 6 · 7 구역은 가장 대표적인 주거 재개발 지구로, 이 일대는 노후된 저층 주거지를 철거하고 고층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 중입니다.

 

청량리 6구역은 현재 관리처분인가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철거 및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시공사는 현대건설로 확정되어 브랜드 아파트 '힐스테이트 청량리'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청량리 7구역 역시 포스코건설의 참여로 '더샵 청량리' 브랜드 아파트가 예정되어 있어, 향후 청량리 일대 고급 주거지로 재탄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이들 구역은 전통시장과 가까워 생활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고, 초등학교 및 병원 등도 인접해 있어 실거주 수요가 강력한 지역으로 꼽힙니다.

 

2024년 현재 청량리 6 · 7 구역은 일반분양 일정이 구체화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분양가 수준 또한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시세 대비 매력적인 수준에서 책정될 예정입니다. 이 때문에 청약 경쟁률도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무주택자 또는 청약 대기자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단, 투자 목적으로 접근하는 경우 조합원 입주권 프리미엄이 이미 상당히 형성되어 있어 매입 시점과 수익률에 대한 정밀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특히 전매제한 기간과 실거주 요건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향후 주택 시장 흐름에 따라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2 -1. 청량리 뉴타운 구역별 개발현황

구역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청량리 3 청량리역 해링턴플레이스 220 2023.01 효성중공업, 진흥기업
청량리 4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1,425 2023.07 롯데건설
청량리 6 자이 더 로얄포레 1,493 미정 GS건설
청량리 7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 761 미정 롯데건설
청량리 8 롯데캐슬 672 미정 롯데건설
제기 1[1] 아이파크 351 미정 HDC현대산업개발
제기 4 힐스테이트 909 미정 현대건설
제기 6 미정 377 미정 미정
청량리 미주 미정 1,401 미정 미정
동부청과시장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1,152 2023.05 한양, 보성산업
공공주택 복합사업2차 미정 3,200 미정 미정
용두 1-5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용두 1-6 디센시오 999 미정 현대엔지니어링
HDC현대산업개발
용두 3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전농 7 래미안 크레시티 2,397 2013.04 삼성물산 건설부문
전농 8 전농 롯데캐슬 1,750 2030 롯데건설
전농 9 힐스테이트 클래시나인 1,159 미정 현대엔지니어링
전농 10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전농 11 동대문 롯데캐슬 노블레스 584 2018.06 롯데건설
전농 12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전농 13 미정 949 미정 미정
전농 14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신속통합 기획2차
전농간데매공원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전농 지역주택조합 전농 파밀리에 623 미정 신동아건설
전농도시환경정비사업 미정 1,376 미정 대우건설, 동부건설
신속통합 전농152-65 미정 미정 미정 미정
신통기획1차 청량리동19 미정 미정 미정 미정

 


3. 고밀도 개발과 지역 반발 이슈

청량리뉴타운의 개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고밀도 개발로 인한 주민 반발 및 기반시설 부족 문제가 함께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청량리 8 · 9 구역에서는 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로 인해 기존 주민들과의 마찰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청량리 8 구역은 현재 시공사 선정 이후 정비사업의 세부계획 수립 중으로, 일조권 · 조망권 문제로 인근 주민 반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주차장, 공원, 문화시설 등 기반시설 부족 문제도 계속 지적되고 있으며, 서울시와 동대문구청의 조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청량리 9구역은 민간 재개발로 추진 중이며, 소규모 주거지와 시장 등이 혼재되어 있어 정비사업의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특히 인근의 동부시장, 경동시장 등 기존 상권 보호 문제와의 충돌도 존재합니다.

 

서울시는 이 구역에 대해 ‘공공기여 확대’를 통해 문제를 완화하려는 노력을 진행 중입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청량리 지역이 지나치게 고밀도로 개발되면, 교통 혼잡과 인구 과밀 문제로 인해 장기적인 주거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청량리역 일대는 출퇴근 시간대 교통 혼잡도가 매우 높은 편이며, 이에 따른 추가 교통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청량리 개발은 도시 재생이라는 큰 틀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많지만, 지역 주민과의 협의 및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구간도 많아 향후 상황에 따라 사업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및 요약

청량리뉴타운은 서울 동북권 재개발의 중심지로, 교통과 주거, 상업이 복합된 미래형 도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2024년 현재, 청량리역 일대 복합개발과 6 · 7구역 중심의 아파트 사업이 본격화되었고, 고밀도 개발로 인한 이슈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라면 각 구역별 특성과 리스크를 면밀히 분석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실거주 수요자라면 청약 및 분양 일정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입니다. 변화하는 청량리를 미리 준비하세요. 기회는 준비된 사람의 것입니다.